한국 과학자, 미래에너지 핵융합 운전방식 주도한다

국내 연구팀이 새로운 핵융합 플라즈마 운전방식을 개발했다. 핵융합로 내벽에 손상을 일으키는 기존 운전방식의 단점을 해결했다. 향후 미래 핵융합 상용로 운전방식으로 주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나용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와 한현선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8일 공개했다고 밝혔다.

(중략)

연구팀은 새로운 운전방식인 ‘FIRE’를 개발했다. 2008년부터 운영해온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의 운전데이터 분석과 시뮬레이션 검증을 진행한 결과, 플라즈마 가열 시 발생한 고속이온이란 높은 에너지의 입자들이 플라즈마 내부의 난류를 안정화 시키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 현상을 이용해 새로운 운전방식을 개발했다. 

고재원 기자jawon1212@donga.com
한국 과학자, 미래에너지 핵융합 운전방식 주도한다 : 동아사이언스(dongascience.com)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Up Next:

YTN Interview

YTN Inter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