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핵융합 기술 확보 초시계 빨라졌다…정부, 연내 1.2조 예타 추진
정부가 꿈의 청정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 핵심기술을 보다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핵융합 핵심기술 실증 및 첨단연구용 인프라 조성 사업을 약 1조2000억원 규모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말까지 기획을 마치고 12월 중 인프라 조성 사업 예비타당성 조성을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꿈의 청정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 핵심기술을 보다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핵융합 핵심기술 실증 및 첨단연구용 인프라 조성 사업을 약 1조2000억원 규모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말까지 기획을 마치고 12월 중 인프라 조성 사업 예비타당성 조성을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2030년대에는 인공태양의 상용화가 시작될 것으로 봅니다. 이제 인공태양 개발은 국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바뀌고 있습니다. 핵융합의 상용화를 위해 이제 누가 어떤 기술을 가지고 있느냐가 에너지 시장 판도를 바꿀 것입니다.”https://mbnmoney.mbn.co.kr/news/view?news_no=MM1005611198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 나용수 교수와 함택수 교수 연구팀이 핵융합 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고에너지 입자들이 기존에 알려졌던 것처럼 성능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핵융합 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과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규명했다고 5일 밝혔다. 원문‘인공태양’ 실현 위한 플라스마 내부의 난류 억제 원리 밝혀 | 연합뉴스 관련기사 핵융합 방해한 고에너지 입자로 핵융합 효율 높였다 : 동아사이언스한국연구재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