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에너지 핵융합, 최초 ‘불씨’ 형성 과정 한국이 밝혔다

연구팀이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한 플라스마의 모습(왼쪽)과 실제 실험의 모습. – 사진 제공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유민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연구원과 나용수 교수팀은 기존의 플라스마 형성 이론을 대체할 새로운 핵융합 플라스마 형성 이론을 만들고 이를 실험으로 증명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국내 핵융합 연구팀이 네이처 자매지에 관련 연구를 게재한 것은 유 연구원과 나 교수팀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기존의 핵융합 플라스마 형성 이론이 강한 자기장이 없는 시스템에서만 통하는 이론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실험 결과와 이론 사이에 차이가 크다는 사실을 발견해 이론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

유 연구원과 나 교수는 토카막 특유의 복잡한 전자기 구조를 고려한 새로운 플라스마 형성 이론을 구상했다. 토카막 안에서는, 플라스마가 마치 트랙을 도는 육상선수처럼 도넛 모양의 원형 대칭 구조 안을 뱅글뱅글 돈다. 이 과정에서 자유전자가 다른 물질(기체)과 부딪히면서 다시 자유전자를 만들고 이들이 다시 ‘트랙’을 돌며 가속돼 기체와 충돌하며 기하급수적으로 전자수가 증가하는 ‘전자눈사태(electron avalanche)’라고 부르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런데 연구팀은 자기장이 강한 토카막 안에서 이 현상이 반복돼 플라스마가 일정 밀도 이상으로 늘어나면 갑자기 이 저절로 전자눈사태 현상이 줄어들고, 대신 수직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며 난류가 생기고 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가지런히 트랙을 돌던 육상선수가 갑자기 축구장 안팎으로 뛰며 끼리끼리 뭉치고 섞이는 현상이 나타나는 식이다.

연구팀은 이 현상이 핵융합 플라스마 발생 과정에 핵심이 된다는 사실을 이론으로 만들고, 이를 시뮬레이션 모형으로 계산했다. 그 뒤 국가핵융합연구소가 보유한 실험용 핵융합로인 케이스타(KSTAR)의 실제 실험 데이터와 비교해 기존 이론보다 더 정확히 플라스마 밀도와 전기적 구조를 설명하고 발생 과정도 더 잘 재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나 교수는 “한국, 미국, EU 등 7개국이 프랑스에서 공동 개발 중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 등 미래 핵융합로의 플라스마 발생 과정을 최적화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신영 기자 ashilla@donga.com

http://m.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3962

서울대 나용수 교수, 국제핵융합실험로 전문가그룹 의장 선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추진을 위한 국제전문가 그룹인 ‘국제 토카막 물리 회의체’(ITPA) 통합운전시나리오그룹 의장으로 선임됐다고 1일 밝혔다.

ITER 프로젝트는 인류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해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목표로 한국,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러시아, 중국, 인도 등 7개국이 추진 중인 역사상 최대 규모의 국제공동연구 개발사업이다.

ITER의 핵융합 플라즈마 물리를 담당하는 ITPA는 각국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제전문가단체다. 나 교수는 한국인 최초로 통합운전시나리오그룹의 의장직을 맡아 통합운전 관련 현안 해결 및 노심 운전 시나리오 개발을 3년간 이끌게 된다.

진동영 기자 jin@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OOOQ4JE2G

서울대 공대, ‘신양 공학 학술상’ 교수 6명 선정

왼쪽부터 나용수·윤병동·심병효·서진욱·조재열 교수, 김도희 부교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2017년 신양 공학 학술상’ 수상자로 나용수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등 6명을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수상자는 교육분야의 나 교수를 비롯해 학술분야에서 윤병동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심병효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서진욱 컴퓨터공학부 교수, 산학협력분야에서 조재열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김도희 화학생물공학부 부교수 등 6명이다.

신양 공학 학술상은 서울대 공대에서 정교수 및 부교수로 승진한 49세 이하 젊은 교수들 중 업적이 뛰어난 교수에게 수여된다. 서울대 공대 동문이자 태성고무화학 창업자인 고(故) 정석규 신양문화재단 이사장의 출연금으로 제정됐으며 2005년 이래 13회째 이어지고 있다.

/진동영기자 jin@sedaily.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ONL8IJZYF/GK0107?utm_source=dable